클로저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→ 렉시컬 스코프(정적 스코프) 렉시컬 환경의 “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”에 저장할 참조값,즉 상위 스코프에 대한 참조는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함수가 정의된 환경(위치)의 해 결정 렉시컬 스코프가 가능하려면 함수는 자신이 정의된 환경, 즉 상위 스코프(함수 정의가 위치하는 스코프)를 기억해야→ 함수는 자신의 내부 슬롯 [[Environment]]에 자신이 정의된 환경, 상위 스코프의 참조를 저장 함수 객체의 내부 슬롯 [[Environment]]에 저장된 현재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의 참조가 상위 스코프이며, 자신..
이 글은 KUIT Web 부원분들을 대상으로 쓴 글입니다. 이번 주부터 저희는 JavaScript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! 강의 도중에 실행 컨텍스트라는 개념에 대해서 배우게 되는데요. 이와 관련해서 좋은 글을 발견해서 같이 공유하려 합니다. 글 링크 : https://velog.io/@hyumapr/JavaScript-Sean103024 JavaScript의 핵심 원리 탐구: 실행 컨텍스트관점으로 보는 클로저, this, 그리고 호이스팅 여러 면접을 거쳐오면서 기술면접 질문들로 자주 받는 내용들인 실행 컨텍스트,클로저,this,호이스팅을 한번에 다뤄볼려고 한다. velog.io 어제 쓰여진 따끈따끈한 글인데요. 이 글에서는 this 바인딩, 클로저, 호이스팅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이 개념들과 실행 컨텍스..